티스토리 뷰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서 hs code 조회 방법 포스팅입니다. 혹시 관세법령정보포털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저도 최근에 알았는데요.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서 세계 hs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s code 라는 것은 나라 간에 상품을 교류하는데 있어서 국제적으로 상품 분류를 위해 부여하는 코드를 말합니다.
각 품목마다 관세율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분류해 놓은 품목 분류표를 hs code 라고 합니다. 총 10자리의 숫자로 세분화해서 관세율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hs code 조회 활용하면 일반인들도 관세율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답니다. 수출입하기 위해서는 hs code 조회 꼭 필요합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서 hs code 조회 해보면, hs code 에 따라 관세 및 부가세, 환급이 다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출입할 때 해당 상품의 hs code 조회 를 통해서 관세율을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개인적으로 해외 직구를 하는 경우도 점점 많아지기 때문에 관세법령정보포털 hs code 조회 꼭 기억하고 있어야겠습니다. 그러면 hs code 조회 어떻게 하는 것입니까? 일단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 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에 접속해야 합니다. 주소가 좀 긴데, 네이버 검색 창에서 관세법령정보포털 이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들어가서 상단 메뉴 말고, 중간에 있는 세계HS정보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의 사진처럼,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원하는 나라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나라의 관세율표가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원하는 품목을 찾아 들어가거나 직접 검색창에 상품을 입력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서 hs code 조회 시, 최신 세율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해가 바뀌면 법령 변경을 통해서 code 번호나 세율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도별로 관세율이 나오기 때문에 올해 관세율을 참고하면 됩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hs code 조회 다소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관세청 콜센터 전화번호 125를 이용하면 쉽게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세율을 정하는 품목이 워낙 많다 보니, 특정 품목을 찾기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상담 전화를 이용해 보세요. 이상, 관세법령정보포털 사이트에서 hs code 조회 방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