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르시아 효과 특정 음식 기피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르시아 효과 들어보셨나요? 우리는 누구나 다 특정 음식에 대해 안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어서 그 음식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흔히 그것을 가르시아 효과 라고 말합니다.
가르시아 효과 예를 들자면, 어떤 음식을 먹고 난 뒤 구토나 복통과 같은 안 좋은 경험을 하게 될 경우 그 다음부터는 아예 그 음식에 대해 거부감이 생겨서 먹지 않게 되는 현상입니다. 아마 다들 그런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특히, 어릴 적 그런 경험이 아주 오래 갑니다.
가르시아 효과 처음에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을까요? 1955년 미국의 심리학자 존 가르시아는 쥐에게 사카린이 들어 있는 물을 주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쥐에게 감마선을 쏘아 먹은 물을 토하게 했습니다. 쥐에게 사카린이 들어 있는 물을 다시 주었을 때 쥐는 그 물을 마시지 않았습니다.
가르시아 효과 실험 결과를 잘 분석해 보면 무엇을 알 수 있습니까? 사실 쥐가 구토한 것은 감마선 때문이었습니다. 그런데 쥐는 사카린이 든 물이 구토를 야기했다고 생각하고 거부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를 밝혀낸 학자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 가르시아 효과 입니다.
가르시아 효과 이처럼 결과와 행위의 인과 관계는 없지만, 그 원인을 가장 잘 자각되는 것에서 찾고 그것을 혐오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행동 변화는 여러번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놀랍게도 음식과 관련된 고통스러운 경험은 단 한번만으로도 학습된다는 것입니다.
가르시아 효과 단 한번의 경험으로도 특정 음식을 혐오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놀랍지 않나요? 단 한번의 그 기억은 장기간 유지됩니다. 어렸을 때 처음 접한 음식에서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면 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유지되는 이유가 바로 가르시아 효과 때문이었습니다.
한가지 유의할 점은 가르시아 효과 단지 음식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특정한 경험에서 부정적인 상황을 겪었을 때 그 상황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합리적인 판단을 못하고 편견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상, 가르시아 효과 특정 음식 기피 현상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