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베블런 효과 비쌀수록 잘 팔리는 소비 심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베블런 효과 라고 들어보셨나요? 베블런은 미국의 경제학자로 1899년에 그의 저서 유한 계급론에서 가격이 오르는 물건의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상류 계급은 일종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서 가격과 상관없이 소비를 행한다는 주장을 한 것입니다.



이러한 베블런의 주장은 수요와 가격은 반비례한다는 고전 경제학의 이론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베블런 효과상류층 사람들의 소비 심리를 정확히 꼬집었습니다. 실제로 자신의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한 구매자가 많습니다. 분명, 남의 눈을 의식하는 소위 허세 소비 심리가 작용합니다.



베블런 효과 는 오늘날 명품족의 등장이나 백화점 VIP 마케팅에서 그 효과를 분명히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값비싼 귀금속류나 고가의 가전 제품, 고급 자동차 등의 수요는 아무리 경제 상황이 악화되더라도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그런 품목에서는 가격이 싼 상품은 판매가 저조합니다. 과시적 소비, 베블런 효과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고 업계에서는 베블런 효과 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비쌀수록 잘 팔리는 소비 심리를 적극 이용합니다. 우리가 흔히 듣는 광고 문구들, 이를테면...오직 당신만을 위한, 명사만을 위한, 1%를 위한, 클래스가 다른...등등 이런 문구들은 전부 베블런 효과 를 노린 광고 문구입니다.

 


베블런 효과 는 아마 앞으로도 지속될 것입니다. 명품이 곧 자기 자신의 이미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로 인해서 고가의 제품에 대한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입니다. 남들이 갖지 못하는 제품을 소유하고 싶은 끝없는 욕망으로 인해 새로운 고가의 브랜드가 탄생할 것입니다. 



베블런 효과 와 관련있는 또 다른 소비 심리가 파노플리 효과 입니다. 파노플리 효과 란, 상류층이 되고자 하는 신분 상승의 욕망이 소비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소비자가 명품을 구매하면서 특정 집단, 상류층에 속한다는 환상을 느끼게 한다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상류층이 되기를 선망하는 사람들의 소비 심리입니다.



베블런 효과, 파노플리 효과 이러한 소비 심리는 구매하거나 사용하는 물건을 통해서 자신의 지위나 경제적 부를 드러내고 싶어하는 인간의 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갈수록 물질 만능 주의와 자본 주의 의식이 팽배해지면서 이러한 현상은 어쩔 수 없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이상, 비쌀수록 잘 팔리는 소비 심리 베블런 효과 및 파노플리 효과 포스팅이었습니다.

댓글